티스토리 뷰
목차
벌써부터 2025년 휴가 계획을 세우시는 분들 있으시죠?
그분들을 위해서 연차 사용 추천 날짜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연차 일정에 맞게 본인만의 달려도 만들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올해 2025년 근로일수 및 휴무일수
- 1년 일수: 365일
- 주말(토일) 일수: 104일(52주 기준)
- 공휴일: 총 19일 (1/27일 대체 휴일 포함)
- 근로 면제 휴무일: 121일(주말 포함)
- 근로일수: 244일(365일 - 121일)
2025년 근로일수는 2024년 246일보다 1일 줄게 되며
1년 365일 기준으로 약 67%에 해당하며, 이는 약 2일 근무 후 하루를 쉬는 생활 패턴으로 이어집니다.
연차사용 추천 날짜
2025년 1월 _ 공휴일 4일
1월은 공휴일이 총 4일이 있는데 설날때 연차를 2일을 쓰면 최대 9일의 휴가를 즐길 수 있습니다.
1월 1일 (신정)
1월 2일 (목)부터 1월 3일 (금)에 사용하면 최대 5일의 긴 연휴를 만들 수 있습니다.
1월 29일 (설날)
1월 29일 수요일은 설날로, 28일, 29일, 30일 총 3일을 쉽니다.
연차를 1월 27일 (월)과 1월 31일 (금)에 연차를 사용하면 주말을 포함하여 최대 9일을 쉴 수 있습니다.
2025년 3월 _ 공휴일 2일
3월은 공휴일이 총 2일이 있는데 3일 대체휴일로 최대 3일의 연휴를 즐길 수 있습니다.
3월 1일 (삼일절)
3월 1일은 삼일절로 쉬는 날이지만, 해당 날이 토요일에 있어 대체 휴일이 적용되어 3월 3일 (월)에 쉬게 되어
주말 포함 최대 3일의 연휴를 즐길 수 있습니다.
2025년 5월 _ 공휴일 2일
5월은 공휴일이 총 2일이 있는데 근로자의 날을 포함하여 최대 6일의 연휴를 즐길 수 있습니다.
5월 5일 (부처님오신날, 어린이날)
5월 5일에 부처님 오신 날과 어린이날이 있는데요~
올해는 두 공휴일이 겹치게 되면서 5월 6일 (화)에 대체 휴일이 되었습니다.
한가지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근로자의 날인데요~ 바로 근로자의 날이 5월 1일로 목요일입니다.
5월 2일 (금)에 연차를 사용하면 5월 1 (목)일부터 5월 6일 (화)까지 최대 6일을 연속으로 쉴수 있게 되어 긴 휴가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2025년 6월 _ 공휴일 1일
6월은 공휴일이 총 1일이 있는데 최대 3일의 연휴를 즐길 수 있습니다.
6월 6일 (현충일)
6월 6일은 현충일로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이날 포함 최대 3일 연속으로 연휴를 즐길 수 있습니다.
2025년 8월 _ 공휴일 1일
8월은 공휴일이 총 1일이 있는데 최대 3일의 연휴를 즐길 수 있습니다.
8월 15일 (광복절)
8월 15일은 광복절로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금요일이기 때문에 이날 포함 최대 3일 연속으로 연휴를 즐길 수 있습니다.
2025년 10월 _ 공휴일 6일
10월은 공휴일이 2025년 중 가장 많은 휴일이 있는 달이기도 한데요. 총 6일이 있고 대체휴일 1일을 쓰면 총 최대 10일의 연휴를 즐길 수 있습니다.
10월 3일 (개천절)
10월 3일은 개천절로,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10월 6일 (추석)
10월 6일은 추석으로, 원래 추석 연휴는 5일, 6일, 7일이 연속되는 휴일이지만, 5일이 일요일이기 때문에 8일이 대체 휴일로 지정되어, 6일, 7일, 8일이 연휴로 주어집니다.
10월 9일 (한글날)
10월 9일은 한글날로, 대한민국에서 법정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10월에는 공휴일이 붙어 있어 10월 3일부터 10월 9일까지 총 7일을 쉬게 됩니다.
하지만 이때 10월 10일 (목)에 연차를 사용한다면 최대 10일의 긴 휴가를 얻을 수 있어 휴가 계획을 미리 짜두면 좋을거 같습니다.
2025년 12월 _ 공휴일 1일
12월은 공휴일이 총 1일이 있는데 최대 3일의 연휴를 즐길 수 있습니다.
12월 25일 (성탄절)
12월 25일은 성탄절로 휴일입니다. 12월 26일 (금)에 연차를 사용하면, 12월 25일 (수)부터 12월 28일 (일)까지 연속 4일을 쉴 수 있어 짧은 휴식을 즐기실 수 있습니다.
2025년 공휴일과 대체휴일 등을 살펴보았습니다. 남들보다 먼저 2025년 계획을 세우셔서 올해는 휴식과 여행을 위한 황금연휴를 최대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달력 무료 다운로드' 뿐 아니라 나만의 연휴 달력을 만드셔서 체계적인 한해가 되시길 바랍니다.